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최고 법원이며, 원심 관할권과 상고 관할권을 모두 행사한다. 헌법 제75조와 제76조에 따라 원심 관할권을 가지며, 주 및 준주 고등법원과 연방 관할 법원의 상고를 심리한다. 고등법원 판사는 총독에 의해 임명되며, 대법원장 1명과 6명의 다른 판사로 구성된다. 과거에는 영국 추밀원에 상고할 수 있었으나 1975년에 폐지되었고, 1986년 오스트레일리아법 통과로 인해 주 최고법원의 영국 사법위원회 상고도 차단되어 고등법원이 유일한 상고 경로가 되었다. 또한 한때 나우루의 최고 법원 역할을 했으나 2018년에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캔버라의 건축물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도서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도서관은 국가적 소장품 개발을 목표로 1901년 설립되어 캔버라에 위치하며, 다양한 자료를 수집, 보존하고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접근성을 높이는 법정 기구이다. - 캔버라의 건축물 - 캔버라 스타디움
캔버라 스타디움은 1977년 개장 이후 럭비 리그,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개최해 온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특별구 캔버라의 다목적 경기장으로, 특히 캔버라 레이더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며 2014년부터 GIO 스타디움 캔버라로 불린다. - 나라별 최고법원 - 최고재판소 (일본)
일본 최고재판소는 1947년에 설립된 일본의 최고 사법기관으로, 상고 및 소송법에서 정하는 항고에 대한 최종심 판결을 내리고, 법령 해석의 통일 및 헌법 위반 여부 판단(위헌심사)을 담당하며, 내각이 임명하는 15명의 재판관과 재판소장으로 구성된다. - 나라별 최고법원 - 튀르키예 헌법재판소
튀르키예 헌법재판소는 1962년에 설립되었으며, 15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되어 헌법재판을 담당하며, 대통령과 국회가 임명하며, 정부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 [법원]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03년 8월 25일 |
관할권 | 오스트레일리아 |
위치 | 캔버라,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
임명 방식 | 오스트레일리아 총독이 오스트레일리아 법무장관의 자문을 받아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와 오스트레일리아 내각의 승인을 받아 임명 |
법적 근거 |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제71조 |
항소 대상 | 주 및 테리토리 대법원 (항소 법원 또는 전원 법원) 연방 법원 (전원 법원) 연방 순회 및 가족 법원 (전원 법원) |
임기 | 70세 정년 퇴임 |
재판관 수 | 7명 (법률에 따름) |
공식 웹사이트 |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공식 웹사이트 |
사법부 | |
최고 재판관 직책 |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장 |
최고 재판관 이름 | 스티븐 게글러 |
최고 재판관 임기 시작 | 2023년 11월 6일 |
오스트레일리아 사법 체계 | |
연방 법원 |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법원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순회 및 가족 법원 연방 법원 및 재판소 |
주 및 테리토리 법원 | 뉴사우스웨일스 법원 빅토리아 법원 퀸즐랜드 법원 서호주 법원 남호주 법원 태즈메이니아 법원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법원 노던 준주 법원 노퍽 섬 법원 |
2. 역할
고등법원은 원심 관할권과 상고 관할권을 모두 행사한다.
오언 딕슨 경은 1952년 호주 대법원장 취임 선서에서 고등법원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7]
고등법원의 관할권은 대중의 눈에 크게 보이는 헌법 및 연방 사건과 헌법과 아무런 관련이 없고 법원의 주요 관심사인 사람과 사람 또는 사람과 정부 간의 광범위한 소송으로 나뉘어 행사됩니다.
고등법원의 광범위한 관할권은 오스트레일리아 법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8]
2. 1. 원심 관할권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제75조와 제76조는 고등법원의 원심 관할권을 규정한다.제75조는 아래와 같은 모든 사건에 대해 고등법원의 고유한 원심 관할권을 부여한다.
조항 | 내용 |
---|---|
제75(i)조 | 조약에 따라 발생하는 사건 |
제75(ii)조 | 영사 또는 다른 국가의 대표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건 |
제75(iii)조 | 연방 정부 또는 연방 정부를 대신하여 소송을 제기하거나 피소된 사람이 당사자인 사건 |
제75(iv)조 | 주(州)들 간, 또는 서로 다른 주의 거주자들 간, 또는 한 주와 다른 주의 거주자 간의 사건 |
제75(v)조 | 연방 정부 공무원에 대한 직무집행영장, 금지명령 또는 금지명령이 청구되는 사건 |
제76조는 의회가 법률을 통해 아래와 같은 사건들에 대해 고등법원에 원심 관할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조항 | 내용 |
---|---|
제76(i)조 | 헌법에 따라 발생하거나 헌법 해석과 관련된 사건 |
제76(ii)조 | 의회가 제정한 법률에 따라 발생하는 사건 |
제76(iii)조 | 해사 관할권에 관한 사건 |
제76(iv)조 | 서로 다른 주의 법률에 따라 주장되는 동일한 사안과 관련된 사건 |
제76(i)조에서 언급된 헌법 사건에 대한 관할권은 '''사법법 1903''' 제30조에 의해 고등법원에 부여되었다.[3] 제76조에 헌법 사건을 포함시킨 것이 의회가 고등법원의 헌법 사건에 대한 원심 관할권을 박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제75(iii)조(연방 정부를 상대로 한 소송)와 제75(iv)조(주들 간의 분쟁)의 범위가 매우 넓어 많은 헌법 사건이 여전히 고등법원의 관할권 내에 포함된다. 고등법원의 원심 헌법 관할권은 이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호주법개혁위원회(Australian Law Reform Commission)는 제75조가 아닌 제76조에 헌법 사건을 포함시킨 것을 "역사적 우연"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9] 1998년 헌법협약에서는 의회가 관할권을 박탈할 가능성을 막기 위해 헌법 개정을 권고하기도 했다. 또한, 연방헌법 제76조 제1항 및 사법법 제30조에 따라 고등법원은 위헌심사권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제75조와 제76조에서 사용된 "사건(matter)"이라는 단어는 고등법원이 자문 의견을 제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10][11]
2. 2. 상고 관할권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제73조에 따라 고등법원은 자체 1심 판결,[13] 주와 준주의 최고법원 및 기타 연방 관할권을 행사하는 모든 법원의 판결에 대한 상고를 심리할 권한을 갖는다.[12] 현재 상고 대상에는 호주 연방법원, 호주 가정법원, 호주 연방 소액 사건 법원 등이 포함된다.그러나 고등법원의 상고 관할권은 ''사법법''(Judiciary Act 1903)에 의해 제한되어, 상고 심리를 시작하기 전에 특별 허가(special leave)를 받아야 한다. 특별 허가는 법률 문제가 공익에 관한 것이거나, 법원 간의 의견 충돌이 있거나, 또는 "사법 행정의 이익"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허가될 수 있다. 특별 허가 심리는 보통 고등법원 판사 2명 또는 3명으로 구성된 패널이 진행하며, 당사자는 서면 제출 외에 20분의 구두 변론 시간이 주어진다.[14]
과거에는 특정 경우 영국 추밀원(Privy Council)에 상고하는 것이 가능했다. 헌법 제정 당시 이는 상당한 논란거리였으며, 헌법 제74조 원안은 헌법이나 주 헌법 해석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추밀원 상고를 금지하고자 했다.[15][16] 하지만 실제 연방 의회에서 제정된 조항은 각 주와 연방 정부 사이의 권한 분쟁과 관련된 사안(''inter se'' 사안)에 대한 상고만을 금지했고, 이마저도 고등법원이 허가하는 경우에는 예외를 두었다.[17] (고등법원은 단 한 번만 허가했으며, 이후로는 허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18][19]) ''inter se'' 사안이 아닌 헌법 사건(예: 헌법 제92조의 주간 상호 교역 자유 조항 해석)은 허가 없이 추밀원에 상고될 수 있었다.[20]
''inter se'' 사안이 아닌 경우, 추밀원은 고등법원 판결에 대한 상고를 정기적으로 심리했다. 때로는 추밀원이 호주 관습법이 영국법과 다르게 발전했음을 인정하기도 했지만,[21][22][23] 다른 경우에는 영국 판례를 따르며 고등법원의 판결을 뒤집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고등법원과 추밀원 사이에 긴장을 유발했는데, 대표적으로 ''Parker v The Queen'' (1964) 사건에서 오웬 딕슨 당시 수석 판사는 영국 상원의 판결(DPP v Smith)을 호주에서는 따르지 않겠다고 선언했으나,[24] 추밀원은 이듬해 이를 뒤집고 영국 판례를 강제했다.[25] 이러한 추밀원 상고는 이후 법률 개정을 통해 폐지되었다.
2. 2. 1. 영국 추밀원 상고 폐지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74조는 연방 의회가 사법위원회(Privy Council)로의 상고를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연방 의회는 이 권한을 행사하여 1968년 「1968년 사법위원회(상고 제한)법」(Privy Council (Limitation of Appeals) Act 1968)을 제정했다. 이 법은 연방법과 관련된 모든 사건에 대해 사법위원회로 상고하는 것을 금지했다.[41] 이후 1975년에는 「1975년 사법위원회(고등법원 상고)법」(Privy Council (Appeals from the High Court) Act 1975)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에서 사법위원회로 상고하는 경로를 대부분 차단했다. 다만, 고등법원이 상고 허가증을 발급하는 예외적인 경우는 남겨두었다.[42]결정적으로 1986년, 영국 의회[43]와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의회는 각 주의 요청과 동의를 받아[44] 「오스트레일리아법」(Australia Act 1986)을 제정했다. 이 법은 각 주 최고법원에서 영국 사법위원회로 직접 상고하는 것을 완전히 폐지시켰다. 이로써 오스트레일리아 내 모든 사건의 최종 상고심은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이 유일하게 담당하게 되었다.[45]
2002년, 당시 대법원장이었던 머레이 글리슨(Murray Gleeson)은 이러한 관련 법률들과 ''Kirmani'' 사건 판결의 "결합된 효과"를 언급하며, 헌법 74조는 사실상 사문화되었고 사법위원회 상고를 제한하는 법률들이 제정된 이상 74조의 나머지 조항들도 더 이상 효력이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46]
2. 2. 2. 나우루 상고 관할권
1976년 9월 6일 나우루와 오스트레일리아 간의 합의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나우루의 최고 법원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47] 고등법원은 형사 및 민사 사건에 대해 나우루 대법원의 항소를 심리할 권한을 가졌으나, 헌법 관련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48] 이 합의가 시행된 첫 40년 동안 고등법원에 제기된 항소는 총 5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7년에는 주로 난민 신청자 관련 사건들로 인해 항소 건수가 13건으로 급증했다.[49]당시 일부 법률 전문가들은 이러한 항소 관할권이 고등법원의 다른 책임과 상충될 수 있으며, 재협상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0][51] 특히 나우루의 법과 관습법을 적용해야 하는 점, 특별 허가 심리가 필요 없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1]
나우루 정치인들은[52] 나우루 정부가 이 합의에 불만을 가지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밝혔으며,[53] 특히 2017년 10월, 고등법원이 나우루 대법원의 정치 시위자들에 대한 형량 증가 판결을 취소한 것이 주요 불만 요인이었다.[1][54] 고등법원은 해당 사건을 "다르게 구성된 대법원에서 법에 따라 심리하도록" 돌려보냈다.[1]
나우루 독립 50주년을 맞아 와카 바론 대통령은 의회 연설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최고 법원과의 관계 단절은 완전한 국가 주권을 향한 논리적인 단계이며, 나우루가 스스로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선언하며 관계 단절 의사를 밝혔다.[1] 법무부 장관 데이비드 아데앙은 고등법원에 항소하는 데 드는 비용 역시 관계 단절의 이유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55]
결국 나우루는 오스트레일리아와의 합의에 따라 90일 사전 통보 후 항소 절차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2017년 12월 12일에 내려졌으며, 고등법원의 나우루 관련 관할권은 2018년 3월 12일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53] 이러한 종료 사실은 나우루 대법원이 시위대 사건을 재심리하여 다시 형량을 늘린 후에야 대중에게 공개되었다.[56]
3. 법률 역사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가 법원 설립 논의는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1846년 헨리 조지 그레이 3세 백작이 식민지 연합을 제안한 데 이어, 1849년 추밀원 보고서에서 국가 법원 설립 아이디어가 나왔다.[57] 1856년에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지사 리처드 매크도넬(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이 각 식민지 대법원의 항소를 심리할 상급 법원 설립을 제안했고, 1860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의회는 이 아이디어를 다른 식민지에 제안하도록 독려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당시에는 빅토리아주 정부만이 이 제안을 진지하게 검토했다.[58]
1870년 멜버른에서 열린 식민지 간 회의에서 식민지 간 법원 설립 문제가 다시 논의되었다. 빅토리아주에서는 왕립위원회를 설치하여 방안을 검토하고 법률 초안까지 마련했지만, 이 초안이 추밀원에 대한 항소를 완전히 배제하려 했기 때문에 런던의 반발을 샀고, 영국 의회를 통한 입법 시도는 무산되었다.[58]
1880년에는 오스트랄라시아 항소 법원 설립을 위한 또 다른 법률 초안이 제안되었다. 이 법원은 각 식민지 대법원에서 판사 한 명씩을 차출하여 1년 임기로 운영될 예정이었다.[59][58] 하지만 이 제안 역시 일부 식민지가 반대했던 추밀원 항소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결국 폐기되었다.
고등법원의 역사적 시기는 일반적으로 당시 대법원장의 이름을 따서 표기한다. 하지만 대법원장이 항상 법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던 것은 아니다.[73][74]
3. 1. 그리피스 대법원 (1903-1919)


1903년 8월 25일 사법부 법률(Judiciary Act 1903)이 통과된 후, 초대 대법원장 새뮤얼 그리피스 경과 판사 에드먼드 바튼 경, 리처드 오코너가 같은 해 10월 5일에 임명되었다. 10월 6일, 법원은 빅토리아주 대법원의 Banco Court에서 첫 번째 개정을 열었다.
그리피스 대법원장 시대의 최초 법원은 오스트레일리아 헌법법의 기초를 마련했다. 이 법원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새로운 항소 법원으로서의 위치를 인식하고 오스트레일리아 법원 계층의 최상위에 자체 권위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디킨 대 웹''(1904)[75] 사건에서 이 법원은 자체 권한 대신 캐나다 헌법에 관한 영국 국왕 칙령평의회의 결정을 따른 빅토리아주 대법원을 비판했다.[58]

초창기에는 그리피스와 다른 연방주의자 판사들이 법원을 지배했다. 그들의 결정은 1906년 아이작 아이작스 경과 H. B. 히긴스와 같은 국수주의자 판사들의 결정과 때때로 상충했다. 1912년 리처드 에드워드 오코너 판사의 사망으로 국수주의자들이 다수파가 되었고 그리피스의 영향력은 감소하기 시작했다.[76]
그리피스 법원의 초기 헌법법 결정은 미국 헌법법의 영향을 받았다.[77] 그리피스 법원 특유의 중요한 원리는 보류된 주 권한(reserved State powers)이었다.[78] 이 원리에 따라 연방 의회의 입법권은 협소하게 해석되어 연방화 이전에 주 의회가 전통적으로 행사해 온 권한 영역을 침해하지 않도록 해야 했다.[79] 앤서니 메이슨은 이 원리가 연방 정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하고 당시 중앙 권력 행사에 익숙하지 않았던 사회 정서에 부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76]
그리피스와 에드먼드 바튼 경은 보류 권한(reserved powers) 행사 등에 대해 총독들과 자주 협의했다.[80]
3. 2. 녹스, 아이작스, 가반 더피 대법원 (1919-1935)
어드리언 녹스는 1919년 10월 18일에 수석 대법관으로 임명되었다. 에드먼드 바턴 대법관이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면서 초대 대법관 시대는 막을 내렸다. 녹스 대법원 시대에는 아이작 아이작스 대법관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81]녹스 대법원 시기에는 연방 대법원의 중요한 판례인 엔지니어 사건 판결이 내려졌다. 이 판결을 통해 이전까지 판례의 주류였던 주의 권한 예약설(reserved state powers doctrine)이 공식적으로 폐기되었으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정치 체제의 연방 균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 다른 중요한 판결로는 로슈 대 크로이머 사건(Roche v Kronheimer)이 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국방권을 근거로 베르사유 조약에 따른 오스트레일리아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연방 법률의 합헌성을 인정했다.[82]
아이작 아이작스는 약 42주 동안만 대법원장직을 수행했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총독으로 임명되면서 법원을 떠났다. 총독 임기 대부분을 병으로 보냈기 때문에, 그의 대법원장 재임 기간 동안 중요한 사건은 거의 없었다.[81]
프랭크 가반 더피는 1931년부터 4년간 대법원장을 역임했다. 그러나 임명 당시 이미 78세의 고령이었기 때문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그는 재임 기간 중 전체 사건의 약 40%에만 참여했으며, 대부분 간결한 판결을 내리거나 동료 판사들의 판결에 동의하는 데 그쳤다. 그의 잦은 결석으로 인해 많은 사건들이 동수로 결정되었고, 이는 해당 판결들이 판례로서 지속적인 가치를 지니기 어렵게 만들었다.[83]
이 시대의 중요한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3. 3. 레이섬 대법원 (1935-1952)

존 레이섬은 1935년 수석 대법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재임 기간은 전시 법률에 대한 법원의 해석과 이후 평화로의 전환으로 가장 주목할 만하다.[87]
전시 기간 동안 대부분의 법률은 국방권한에 의해 허용된 것으로 인정되었다.[88] 존 커틴의 노동당 정부 법률은 거의 성공적으로 문제 제기되지 않았으며, 법원은 국방권한이 연방 정부가 강력하게 통치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할 필요성을 인정했다. 법원은 최초의 통일세 사건에서 국가 소득세 제도의 수립을 허용했으며, 평화주의자 여호와의 증인 교파를 파괴적인 조직으로 선언하는 법률을 옹호했다.[89]
전쟁 후 법원은 국방권한의 범위를 제한했다. 특히 벤 치플리 노동당 정부의 재건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들을 여러 개 무효화했는데, 은행 국유화 사건(1948)에서 은행을 국유화하려는 시도[90]와 최초의 약제 급여 사건(1945)에서 포괄적인 의료 급여 제도를 설립하려는 시도가 대표적이다.[91]
이 시대의 다른 주목할 만한 사건으로는 다음이 있다.
3. 4. 딕슨 대법원 (1952-1964)

오웬 딕슨은 23년간 대법관으로 재직한 후 1952년에 수석대법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법원은 일부 사람들이 "황금기"라고 묘사하는 시기를 경험했다. 딕슨은 이 기간 동안 법원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법원은 합의 판결의 수가 현저히 증가했는데, 그중 많은 수가 딕슨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이 시대는 또한 법원 판사들 간의 일반적으로 좋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도 주목받고 있다.[95]
딕슨 법원의 주목할 만한 판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딕슨 재임 기간 동안 법원은 다수 의견으로 그가 수년 전 소수 의견에서 표명했던 몇 가지 견해를 채택하게 되었다.[95]
3. 5. 바윅 대법원 (1964-1981)

가필드 바윅은 1964년 호주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어 1981년까지 재임했다.
바윅 대법원은 여러 사건 중에서도 조세 회피 및 탈세 관련 사건에서 논란이 많은 판결을 내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 판결은 대부분 세무 당국에 불리한 내용이었다. 특히 바윅 대법원장이 주도한 다수의 판결에서는 조세 회피(합법적으로 세금 납부 의무를 최소화하는 행위)와 탈세(불법적으로 세금 납부 의무를 회피하는 행위)를 구분했다. 이러한 판결들은 사실상 조세 회피를 막기 위한 법률의 효력을 약화시켰고, 그 결과 1970년대에 조세 회피 수단이 크게 늘어나면서 법원에 대한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다.[98]
바윅 대법원의 주목할 만한 판결은 다음과 같다.
- ''브래들리 대 연방 정부''
- 콘크리트 파이프 사건[99]
- 해양 및 잠수지역 사건[100][101]
- 제1차 및 제2차 준주 상원의원 사건[102][103][104]
- ''러셀 대 러셀''[105]
- ''코맥 대 코프''[106]
- ''빅토리아 대 연방 정부''
3. 6. 깁스 대법원 (1981-1987)
해리 깁스 경(Sir Harry Gibbs)이 1981년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었다.깁스 대법원의 주목할 만한 판례에는 연방의 입법권에 대한 해석상 확장이 포함된다.[107] 학자들은 또한 딕슨(Dixon) 및 바윅(Barwick) 대법원을 특징지었던 법치주의 및 보수주의 전통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지적했다.[107]
대법원의 주목할 만한 판결은 다음과 같다.
- ''Koowarta v Bjelke-Petersen''[108]
- 태즈메이니아 댐 사건[109]
- ''Kioa v West''[110]
- 챔벌레인 사건 (재심)
- ''A v Hayden''[111]
3. 7. 메이슨 대법원 (1987-1995)
앤서니 메이슨이 1987년에 수석 대법관으로 임명되었다.메이슨 법원은 법적으로 가장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법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12] 이 시기 법원은 구성원의 변동이 거의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는데, 위슨 대법관이 은퇴하고 맥휴 대법관이 새로 임명된 것이 유일한 변화였다.
메이슨 법원이 내린 일부 판결들은 정치적으로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113] 학계에서는 메이슨 법원에 대해 "높은 평가와 동시에 엄격한 비판을 받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115]
이 시기의 주요 판결은 다음과 같다.
또한, 메이슨 법원은 오스트레일리아 캐피털 텔레비전 주식회사 대 연방 사건과 테오파노스 사건 판결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헌법상 묵시적 정치적 의사소통의 자유에 대한 중요한 법리를 발전시킨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3. 8. 브레넌 대법원 (1995-1998)
제라드 브레넌은 1995년 메이슨의 뒤를 이어 대법원장이 되었다.브레넌 대법원 시기(1995년 ~ 1998년)는 3년 동안 이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법원은 구성원과 중요 사건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120]
주목할 만한 판결은 다음과 같다.
3. 9. 글리슨 대법원 (1998-2008)
머레이 글리슨(Murray Gleeson)은 1998년에 수석 대법관으로 임명되었다. 글리슨 대법원 시대는 대법원 역사상 비교적 보수적인 시기로 여겨진다.[126]이 시대의 주목할 만한 판결은 다음과 같다.
- '''알-카텝 대 고드윈(Al-Kateb v Godwin)'''
- '''이건 대 윌리스(Egan v Willis)'''
- '''뉴사우스웨일스 대 연방(New South Wales v Commonwealth)''' (워크초이스 사건(Workchoices Case))
- '''R 대 탕(R v Tang)'''
- '''와킴 사건; 맥널리 사건(Re Wakim; Ex parte McNally)'''[127]
- '''수 대 힐(Sue v Hill)'''
- '''서호주 대 워드(Western Australia v Ward)'''
- '''요르타 요르타 원주민 공동체 구성원 대 빅토리아(Members of the Yorta Yorta Aboriginal Community v Victoria)''' (요르타 요르타 사건)
3. 10. 프렌치 대법원 (2008-2017)
로버트 프렌치(Robert French)는 2008년 9월 1일 고등법원의 제12대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2017년 1월 29일까지 재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홍콩 최고항소법원의 비상임 판사도 역임하였다. 그의 중국 이름은 范禮全|판리취안중국어이다.프렌치 대법원 시기의 주목할 만한 판결은 다음과 같다.
- '''파페 대 세무위원장(Pape v Commissioner of Taxation)'''[128]
- '''원고 M70'''
- '''윌리엄스 대 연방(Williams v Commonwealth)'''
3. 11. 키펠 대법원 (2017-2023)
수잔 키펠은 2017년 1월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었다.법학자들은 키펠 법원 시기에 광범위한 합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사법 스타일이 변화했다고 지적한다.[129] 실제로 반대 의견의 빈도가 줄어들었으며, 4대 3으로 판결이 나뉘는 경우도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키펠 대법원장 자신도 법정 밖에서 합의를 최대한 이끌어내고 반대 의견을 최소화하는 사법 관행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130]
특히 키펠, 키인, 벨 세 명의 판사는 만장일치에 이르지 못했을 때 공동 판결을 내리는 경향이 두드러졌는데, 이들의 결정이 다수 의견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법원의 운영 방식에 대해 학자 제러미 간스는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이를 미국 대법원의 네 명의 기수 시대에 빗대기도 했다.[129]
키펠 법원 시기의 주요 판결은 다음과 같다.
- ''Re Canavan''[131][132][133]
- ''Wilkie v Commonwealth''[134][135]
- ''AB v CD; EF v CD''[136]
- ''Pell v The Queen''[137]
- ''Love v Commonwealth''[138]
- ''Palmer v Western Australia''
3. 12. 게이글러 대법원 (2023-현재)
스티븐 게이글러가 2023년 11월 수석 대법관으로 임명되었다.게이글러 법원의 주목할 만한 판결은 다음과 같다.
4. 임명 절차 및 구성
고등법원 판사는 총독 의회(Governor-General in Council)에 의해 임명된다.[140] 실질적으로는 총리가 오스트레일리아 법무장관의 지원을 받아 자문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독이 임명하는 방식이다. 1979년부터 법무장관은 법에 따라 각 주의 법무장관과 의무적으로 협의해야 한다.[141] 일부에서는 주 정부가 임명 과정에서 더 결정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142]
임명 과정 자체는 대체로 큰 논란 없이 진행되어 왔으나[147], 이는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별도의 지원 절차는 없으며, 임명자가 발표되기 전까지는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다. 최근 일부 법무장관은 호주 여성 변호사회, 국립 연방 법률 센터 협회 등 다양한 단체와 폭넓게 협의했다고 밝히기도 했지만[148], 협의 범위는 여전히 법무장관의 재량에 크게 좌우된다.
과거 임명 사례를 보면 정치적 배경이 작용한 경우도 있었다. 초기 판사 3명은 대법원장으로 임명되기 전에 보수당 정치인이었으며[149][150], H. V. 에바트, 에드워드 맥티어넌, 라이오넬 머피 판사 등은 노동당 정치인 출신으로 노동당 정부에 의해 임명되었다.[151]
원래 헌법이나 법률에는 고등법원 판사 임명에 대한 특별한 자격 요건이 없었다. 1977년 헌법 개정으로 임명자는 70세 정년 이전에 임명되어야 한다는 요건이 추가되었다.[143] 1979년부터는 법률에 따라 연방, 주 또는 준주 법원의 판사 경력이 있거나 최소 5년 이상 변호사 실무 경력이 있어야 한다는 자격 요건이 추가되었다.[144][145] 의회 의원과는 달리 호주 시민이어야 할 의무는 없으며, 이중 국적자도 임명될 수 있다.[146]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대법원장 1명과 6명의 다른 대법관을 포함하여 총 7명의 법관으로 구성된다. 현재까지 고등법원에는 44명의 대법관이 있었으며, 그중 12명이 대법원장을 역임했다.[152]
초대 고등법원은 새뮤얼 그리피스 대법원장, 에드먼드 바튼, 리처드 오코너 3명의 법관으로 시작했다.[157] 이들 모두 헌법 제정에 참여했으며, 당시 기준으로 비교적 보수적인 성향으로 평가받았다. 1906년 아이작 아이작스와 헨리 히긴스가 임명되어 5명으로 늘어났고, 1912년 오코너 사망 후 사법법 개정으로 다음 해부터 7명으로 증원되었다. 1931년 아이작스 퇴임 후 그의 자리는 채워지지 않았고, 법관 수는 6명으로 줄었다. 이로 인해 판결이 3대 3으로 갈리는 경우도 발생했다.[158] 1946년 윌리엄 웹 판사가 임명되면서 다시 7명이 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7인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등법원이 1심 법원 역할을 할 때는 단독 판사가 심리하고, 항소심에서는 3명에서 5명으로 구성된 합의체가 심리한다.[177]
고등법원 56명의 판사 중 여성은 7명이다. 최초의 여성 판사는 메리 고드론(1987년~2003년 재직)이었으며, 이후 수전 크레넌(2005년~2015년 재직), 버지니아 벨(2009년~2021년 재직) 등이 임명되었다. 2017년 수전 키펠은 최초의 여성 대법원장이 되었다.[160] 2022년 10월 제인 자고트 판사가 임명되면서, 키펠, 미셸 고든, 재클린 글리슨, 자고트 판사를 포함하여 처음으로 재직 중인 여성 판사가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다.[159]
마이클 커비는 최초로 커밍아웃한 동성애자 판사였으며, 그 후임인 버지니아 벨은 최초의 레즈비언 판사이다.[161]
지역별로는 뉴사우스웨일스 출신이 28명(그중 25명이 시드니 로스쿨 졸업)으로 가장 많고, 빅토리아 16명, 퀸즐랜드 8명, 서호주 4명 순이다. 남호주, 태즈메이니아 또는 다른 지역 출신 판사는 아직 없다.
대부분 개신교 배경을 가졌으며, 소수의 가톨릭 신자도 있었다. 비기독교 배경으로는 유대교 신자인 아이작 아이작스 경과 제임스 에델만 판사가 있다.[162] 많은 판사들이 자신의 종교적 견해를 공개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거의 모든 판사가 임명 전 국왕의 변호사(KC 또는 QC)나 선임 변호사(SC) 칭호를 받았다. 예외로는 스타크, 맥티어넌, 웹, 월시, 커비, 프렌치, 에델만, 자고트 판사가 있다. 13명의 판사가 이전에 의회 활동 경력이 있지만, 1975년 라이오넬 머피 이후로는 의원 출신이 임명된 사례는 없다.
이름 | 주(州) | 임명일 | 의무 퇴임일 | 임명 총독 | 추천 총리 | 이전 직책 | 교육 |
---|---|---|---|---|---|---|---|
스티븐 게이글러 (대법원장) | NSW | 2023년 11월 6일 (대법원장으로) 2012년 10월 9일 (대법관으로) | 2028년 7월 5일 | 데이비드 헐리 (대법원장으로) 퀸틴 브라이스 (대법관으로) | 앤서니 앨버니지 (노동당, 대법원장으로) 줄리아 길라드 (노동당, 대법관으로) | 호주 법무총장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미셸 고든 | Vic | 2015년 6월 9일 | 2034년 11월 19일 | 피터 코스그로브 | 토니 애벗 (자유당) | 호주 연방법원 | 서호주 대학교 |
제임스 에델만 | WA | 2017년 1월 30일 | 2044년 1월 9일 | 피터 코스그로브 | 말콤 턴불 (자유당) | 서호주 대법원 호주 연방법원 | 서호주 대학교 머독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
사이먼 스튜어트 | Vic | 2020년 12월 1일[153] | 2039년 1월 9일[154] | 데이비드 헐리 | 스콧 모리슨 (자유당) | 호주 연방법원 | 멜버른 대학교 |
자클린 글리슨 | NSW | 2021년 3월 1일 | 2036년 3월 6일 | 데이비드 헐리 | 스콧 모리슨 (자유당) | 호주 연방법원 | 시드니 대학교 |
제인 자고트 | NSW | 2022년 10월 17일 | 2035년 6월 19일[155] | 데이비드 헐리 | 앤서니 앨버니지 (노동당) | 호주 연방법원 뉴사우스웨일스주 토지환경법원 | 매쿼리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
로버트 비치-존스 | NSW | 2023년 11월 6일 | 2035년 3월 12일[156] | 데이비드 헐리 | 앤서니 앨버니지 (노동당) | 뉴사우스웨일스주 대법원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
5. 시설
호주 고등법원 건물은 캔버라의 의회 삼각지에 있는 버리 그리핀 호숫가에 위치한다. 호주 건축가 크리스토퍼 크링가스(1936~1975)가 에드워드 매디건 토르질로 앤 브리그스 사의 이사로서 1972년부터 1974년 사이에 설계하였다. 건물은 1975년부터 1980년까지 건설되었다. 이 건물의 국제적인 건축적 중요성은 국제 건축가 연맹의 20세기 건축 유산 등록부에 의해 인정받고 있다. 1980년 호주 건축가 협회 캔버라 메달리온을 수상했고, 2007년에는 지속적인 건축상을 수상했다. 호주 고등법원은 2004년 연방 유산 목록에 추가되었다.[6]
고등법원은 자체 웹사이트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한다.[171] 법원 웹사이트와 이메일 구독(무료)을 통해 이용 가능한 판결 알림은 구독자에게 다가오는 판결(일반적으로 1주일 전)을 알리고, 주요 판결 선고 직후에는 간략한 요약(일반적으로 1페이지 이내)을 제공한다. 2009년 이후의 모든 법원 판결과 청문회 속기록 및 기타 자료는 오스트레일리아 법률 정보 연구소(Australasian Legal Information Institute)를 통해 무료로 제공된다. 법원은 2017년경 웹사이트에 각 사건의 이름, 키워드, 관련 법률 언급, 전체 판결 링크를 포함하는 "전자자료(eresources)" 페이지를 신설했다. 이러한 링크는 2000년 이후 원본 텍스트, 1948년부터 1999년까지 스캔된 텍스트, 그리고 처음 100권(1903년~1959년)의 ''연방법보고서(Commonwealth Law Reports)''의 복제본으로 연결된다. 일부 보고되지 않은 판결(1906~2002년)의 복제본도 있다.[172] 2013년 10월부터 캔버라에서 열린 전원합의체 청문회의 시청각 녹화본이 웹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다.[173]
참조
[1]
법률
Australian Constitution
[2]
웹사이트
Courts
https://www.abs.gov.[...]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3-05-04
[3]
법률
Judiciary Act 1903
[4]
법률
Constitution of Australia
[5]
웹사이트
Judicial Appointments
https://www.aph.gov.[...]
[6]
AHD
High Court of Australia, King Edward Tce, Parkes, ACT, Australia
2020-05-20
[7]
논문
Address on being sworn in as Chief Justice
[8]
서적
Keystone of the Federal Arch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9]
웹사이트
The Judicial Power of the Commonwealth
http://www.austlii.e[...]
2006-03-19
[10]
웹사이트
Advisory opinions and the rule of law
https://www.ruleofla[...]
[11]
판례
[12]
일반
[13]
일반
[14]
웹사이트
High Court of Australia
https://www.qld.gov.[...]
Queensland Government
2016-08-04
[15]
일반
[16]
웹사이트
Australasian Federation Enabling Act 1899 No 2 (NSW)
http://www.legislati[...]
NSW Parliamentary Council's Office
2016-11-14
[17]
웹사이트
Commonwealth of Australia Constitution Act 1900 (Imp)
http://www.legislati[...]
2016-11-14
[18]
판례
Colonial Sugar Refining Co Ltd v Attorney-General (Cth)
[19]
판례
[20]
웹사이트
What was the role of the Privy Council?
http://cefa.org.au/c[...]
[21]
판례
[22]
판례
[23]
웹사이트
The Birth, Life and Death of Section 74
http://www.hcourt.go[...]
2016-11-14
[24]
판례
[25]
판례
1964-03-23
[26]
웹사이트
The Privy Council – An Australian Perspective
http://www.hcourt.go[...]
2016-11-14
[27]
판례
[28]
판례
[29]
판례
[30]
판례
[31]
판례
[32]
판례
[33]
판례
[34]
판례
[35]
판례
[36]
법률
[37]
법률
[38]
법률
[39]
법률
[40]
법률
[41]
웹사이트
Privy Council (Limitation of Appeals) Act 1968
https://web.archive.[...]
[42]
웹사이트
Privy Council (Appeals from the High Court) Act 1975
https://www.legislat[...]
1975-04-30
[43]
웹사이트
Australia Act 1986
http://www.legislati[...]
2020-04-12
[44]
웹사이트
Australia Act 1986
http://www.legislati[...]
2020-04-12
[45]
법률
Australia Act 1986
[46]
웹사이트
The Birth, Life and Death of Section 74
http://www.hcourt.go[...]
2002-06-14
[47]
법률
Nauru 헌법 개정
[48]
법률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Australi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Nauru relating to Appeals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from the Supreme Court of Nauru
1976-09-06
[49]
웹사이트
News: Court may lose Nauru appellate role
https://blogs.unimel[...]
Melbourne Law School, The University of Melbourne
2018-02-20
[50]
서적
The Judicial Power of the Commonwealth: A Review of the Judiciary Act 1903 and Related Legislation
http://www.austlii.e[...]
2001-06-30
[51]
웹사이트
Appeals to Australia from Nauru: The High Court's Unusual Jurisdiction
https://auspublaw.or[...]
2017-12-04
[52]
인물
[53]
뉴스
Fears for asylum seekers as Nauru moves to cut ties to Australia's high court
https://www.theguard[...]
2018-04-02
[54]
법률
2017-10-20
[55]
웹사이트
Nauru Court of Appeal another step to nation's maturity
http://nauru-news.c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Nauru
2018-03-02
[56]
뉴스
Justice in Nauru curtailed as Government abolishes appeal system
http://www.abc.net.a[...]
2018-04-02
[57]
서적
One hundred years of the High Court of Australia
King's College, London
[58]
서적
Keystone of the Federal Arch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59]
일반
[60]
서적
The High Court of Australia: celebrating the centenary 1903–2003
http://www.crispinhu[...]
Lawbook Co.
[61]
일반
[62]
일반
[63]
연설
The High Court and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http://www.hcourt.go[...]
2002-02-15
[64]
저널
Judiciary Bill, second reading
[6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igh Court
http://www.hcourt.go[...]
High Court of Australia
[66]
웹사이트
High Court Building
https://web.archive.[...]
Public Records Office Victoria
[67]
웹사이트
Ch 3. History of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High Court of Australia
http://www.hcourt.go[...]
High Court of Australia
2011-03-15
[68]
전기
Latham, Sir John Greig (1877–1964)
[69]
전기
Dixon, Sir Owen (1886–1972)
[7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igh Court
https://www.hcourt.g[...]
[71]
웹사이트
Constitution Alteration (Retirement of Judges) Act 1977
http://www.comlaw.go[...]
1977-07-29
[72]
법률
High Court of Australia Act 1979
Cth
[73]
텍스트
[74]
서적
The High Court, the Constitution and Australian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판례
Deakin v Webb
http://www.austlii.e[...]
[7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77]
텍스트
[78]
텍스트
[79]
판례
Attorney-General for NSW v Brewery Employees Union of NSW
http://www.austlii.e[...]
[80]
학술지
Griffith, Barton and the early governor-generals: aspects of Australia's constitutional development
[8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82]
텍스트
[8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84]
텍스트
[85]
텍스트
[86]
텍스트
[8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88]
텍스트
[89]
텍스트
[90]
판례
Bank of New South Wales v Commonwealth (Bank Nationalisation case)
http://www.austlii.e[...]
[91]
판례
Attorney-General (Victoria); Ex rel Dale v Commonwealth (First Pharmaceutical Benefits case)
http://www.austlii.e[...]
[92]
텍스트
[93]
텍스트
[94]
텍스트
[9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96]
텍스트
[97]
텍스트
[9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99]
텍스트
[100]
판례
New South Wales v Commonwealth (Seas and Submerged Lands case)
[101]
텍스트
[102]
판례
Western Australia v Commonwealth (First Territory Senators' case)
[103]
판례
Queensland v Commonwealth (Second Territory Senators' case)
[104]
텍스트
[105]
텍스트
[106]
일반
[10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일반
[109]
일반
[110]
일반
[111]
일반
[112]
서적
Inside the Mason Court revolution : the High Court of Australia transformed
Carolina Academic Press
2006
[113]
일반
[114]
일반
[11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116]
일반
[117]
일반
[118]
일반
[119]
일반
[12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121]
일반
[122]
일반
[123]
일반
[124]
일반
[125]
일반
[126]
논문
The Gleeson Court and the Howard era: A tale of two conservatives (and is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7]
일반
[128]
판례
[129]
웹사이트
The Great Assenters
https://insidestory.[...]
2021-06-02
[130]
연설
Judicial Courage and the Decorum of Dissent
https://www.hcourt.g[...]
2017-11-28
[131]
일반
[132]
판례
Judgment summary
http://www.hcourt.go[...]
High Court
2017-10-27
[133]
뉴스
Citizenship verdict: The High Court and the theatre of public execution
http://www.smh.com.a[...]
2017-10-27
[134]
일반
[135]
판례
Judgment summary
http://www.hcourt.go[...]
High Court
2017-09-28
[136]
일반
[137]
뉴스
George Pell: Australian cardinal released from jail after high court quashes child sexual abuse conviction
https://www.theguard[...]
2020-04-07
[138]
일반
[139]
웹사이트
'Caught everyone off guard': High Court zaps state electric vehicle tax
https://www.smh.com.[...]
2023-10-18
[140]
일반
[141]
법률
High Court of Australia Act 1979
Cth
[14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143]
헌법
Constitution s 72
[144]
법률
High Court of Australia Act 1979
Cth
[14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146]
뉴스
Fact check: Can High Court justices be dual citizens?
https://www.abc.net.[...]
ABC News
2018-05-17
[147]
웹사이트
US Supreme Court confirmation hearings
[148]
서적
Blackshield and Williams Australian Constitutional Law and Theory: Commentary and Materials
Federation P
[149]
기타
Knox, Latham, and Barwick
[150]
서적
Australian Constitutional Landmark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1]
서적
Lionel Murphy: a political biography
Cambridge UP
[152]
웹사이트
Former Justices
http://www.hcourt.go[...]
High Court
2016-10-26
[153]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 Australian Parliament House, ACT
https://www.pm.gov.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20-10-28
[154]
웹사이트
Federal Court of Australia
https://www.director[...]
Commonwealth of Australia
2020-10-28
[155]
웹사이트
Federal Court of Australia Directory
https://www.director[...]
Commonwealth of Australia
2022-10-17
[156]
웹사이트
FAREWELL CEREMONIAL SITTING FOR THE HON. JUSTICE ROBERT BEECH-JONES, CHIEF JUDGE AT COMMON LAW
https://supremecourt[...]
Supreme Court of New South Wales
2023-10-19
[15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igh Court
http://www.hcourt.go[...]
High Court
2016-10-26
[158]
법률
Judiciary Act 1903
Cth
[159]
뉴스
History made as High Court has majority-female bench after Jayne Jagot appointment
https://www.abc.net.[...]
2022-09-29
[160]
웹사이트
Susan Kiefel: Australia's first female chief justice
http://www.smh.com.a[...]
2017-01-30
[161]
뉴스
NSW Supreme Court farewells High Court appointee Virginia Bell
http://www.theaustra[...]
2008-12-20
[162]
뉴스
Judge and Jewry
https://www.jewishne[...]
2016-12-01
[163]
뉴스
Australia's top judges get a pay rise
https://www.sbs.com.[...]
SBS News
2017-10-10
[164]
웹사이트
Determination 2017/09: Judicial and Related Offices – Remuneration and Allowances
http://www.remtribun[...]
Remuneration Tribunal
2017-07-01
[165]
웹사이트
Remuneration Tribunal (Judicial and Related Offices—Remuneration and Allowances) Determination 2021
https://www.remtribu[...]
Remuneration Tribunal
[166]
웹사이트
COMMONWEALTH OF AUSTRALIA CONSTITUTION ACT - SECT 72 Judges' appointment, tenure, and remuneration
http://classic.austl[...]
2021-06-02
[167]
웹사이트
HCA SITTINGS 2021
https://cdn.hcourt.g[...]
2021-06-02
[168]
학술지
Open Chambers: High Court Associates and Supreme Court Clerks Compared
http://www.austlii.e[...]
[169]
웹사이트
Applying for an associateship with a Justice of the High Court of Australia
http://www.hcourt.go[...]
High Court of Australia
[170]
뉴스
The boy from Sandy Hollow
http://www.smh.com.a[...]
2009-01-10
[171]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hcourt.go[...]
High Court of Australia
[172]
웹사이트
High Court of Australia: eresources
http://eresources.hc[...]
[173]
웹사이트
High Court of Australia: Recent AV recordings
http://www.hcourt.go[...]
[174]
웹사이트
The building
http://www.hcourt.go[...]
[175]
학술지
自由刑と選挙権(下)
https://www.ritsumei[...]
[176]
text
[177]
논문
オーストラリアの憲法事情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03-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